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및 항목 총정리 (국가건강검진 A to Z)
“누가, 무엇을,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?” 헷갈리지 않게 2025년 달라진 점까지 한 번에 정리했어요. 끝까지 보면 바로 예약할 수 있게 체크리스트와 신청 절차도 준비했어요.

🧭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
| 대상 | 만 20세 이상 지역/직장 가입자 및 피부양자, 만 19~64세 의료급여 수급자 (격년제) 비사무직 직장인은 매년 대상 |
|---|---|
| 2025 대상자 규칙 | 홀수년도 출생자 (예: 1991, 1993, 1995…) |
| 주요 변경사항 | • C형간염 항체검사 도입(만 56세 1회) • 정신건강 검진 확대(청년층 선별·우울 선별 강화) • 골다공증 검사 대상 확대(연령 구간 추가) • 검진 유예 6개월 허용(2025년 개편) |
| 비용 | 일반검진 및 국가 암검진 다수 항목 본인부담 없음 (연령·성별·위험군에 따라 상이) |
| 기간 | 연중(기관별 예약제). 막판 혼잡하니 10~11월 평일 오전을 추천해요. |

👥 누가 받을 수 있나요? (대상자 기준)
- 지역가입자·직장가입자·피부양자: 만 20세 이상, 2년에 1회 (출생연도 끝자리 기준)
- 비사무직 직장인: 매년 건강검진
- 의료급여 수급자: 만 19~64세, 2년에 1회
- 2025년 대상: 홀수년도 출생자 (짝수년도 출생자는 2026년)
TIP: 국민건강보험 건강iN > 나의건강관리 > 건강검진정보 > 검진대상조회에서 본인 대상 여부를 바로 확인해요.
🧪 무엇을 검사하나요? (기본 + 2025 변경)
기본 공통 항목
- 문진·신체계측(혈압·BMI 등), 시력·청력
- 혈액(혈당·지질·간·신장 기능 등), 요검사
- 흉부 X-ray, 구강검진
암 검진(연령/성별별)
- 위암, 대장암, 간암, 유방암, 자궁경부암(대상 연령·주기 상이)
- 대장내시경/분변잠혈검사, 유방촬영 등은 안내문 기준으로 진행

2025 주요 변경 포인트
- C형간염 항체검사 도입: 만 56세(1969년생) 대상, 일생 1회 실시. 항체 양성 시 RNA 확진검사 비용 지원.
- 정신건강 검진 확대: 청년층(20~34세) 선별 강화 및 우울·불안 고위험군 조기 발굴.
- 골다공증 검사 확대: 특정 연령 구간(예: 54·60·66세)로 늘어나 조기진단 기회 확대.
- 검진 유예 6개월: 불가피한 사유 시 기한 내 수검이 어려워도 최대 6개월 이내 보완 가능.
세부 항목·주기·대상은 공단(국민건강보험) 공지 및 보건복지부 사업안내에 따르며, 일부 항목은 시범사업·확대 적용 중이에요.
🛠 예약·진행 방법 (단계별)
- 대상 확인: 건강iN > 검진대상조회에서 본인 대상/항목 확인
- 기관 선택: 가까운 검진지정기관 검색 후 전화/온라인 예약
- 검사 전 준비: 공복 지침(보통 8시간), 복용약 여부 사전 상담
- 검진 당일: 신분증·마스크 지참, 문진표 작성 → 기본검사 → 암검진(대상자)
- 결과 확인: 결과표 수령 및 건강iN에서 온라인 확인. 필요 시 전문의 상담
🧾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
- 출생연도 끝자리 확인(2025년은 홀수)
- 근무형태 확인: 비사무직이면 매년 대상
- 연령별 추가 항목 확인: 만 56세 C형간염, 암검진, 골다공증 등
- 예약일은 평일 오전으로 잡기(대기 최소화)
- 검사 전 공복 지침 및 복용약 상의
- 결과표 받은 뒤 생활습관·추가검사 액션 플랜 세우기
❓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직장인인데 올해가 짝수 출생연도예요. 그래도 받을 수 있나요?
원칙은 격년제(출생연도 끝자리 기준)이지만, 비사무직은 매년 대상이에요. 사무직인 경우 연도 규칙을 따르며, 특수 상황은 공단 안내를 확인하세요.
Q2. C형간염 검사는 꼭 받아야 하나요?
2025년부터 만 56세 대상자에게 일생 1회 항체검사가 도입되었어요. 항체 양성 시 RNA 확진검사 비용 지원이 연계되니 해당 연령이면 수검을 권장해요.
Q3. 정신건강 검진은 어떻게 바뀌었나요?
청년층(20~34세) 선별이 강화되고, 우울·불안 조기 발견을 위한 문진/선별이 확대돼요. 지역·연령에 따라 적용 범위가 다를 수 있어요.
Q4. 연말에 못 받으면 불이익이 있나요?
2025년 개편으로 최대 6개월 유예가 가능해졌어요. 다만 기관·항목별 예외가 있을 수 있으니 예약 시 꼭 확인해요.
Q5. 어디서 예약하나요?
국민건강보험공단 지정기관이라면 전국 어디서나 가능해요. 건강iN 또는 고객센터(1577-1000)로 확인하고 예약하면 편해요.
지금 할 일
1) 검진 대상 조회 → 2) 가까운 지정기관 예약 → 3) 체크리스트대로 준비!
건강은 타이밍이에요. 이번 주에 한 칸 앞으로 가볼까요?
1) 검진 대상 조회 → 2) 가까운 지정기관 예약 → 3) 체크리스트대로 준비!
건강은 타이밍이에요. 이번 주에 한 칸 앞으로 가볼까요?
※ 본 글은 2025년 10월 기준 공개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, 지역·기관별 세부 적용이 다를 수 있어요.